디자인, 1980년대 서울
시간.
-학술대회 13:00-18:00
-학생세션 10:00-11:30
일자. 2025년 11월 22일(토)
장소.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DDP) 디자인랩 3층 디자인홀
한국디자인사학회 열두 번째 학술대회 〈디자인, 1980년대 서울〉
⏹기획의 글
1980년대의 서울은 압축적 근대화와 함께 도시, 사회, 문화 전반이 급격히 변모하던 시기였습니다. 특히 디자인은 도시 공간과 생활 환경 속에서 새로운 미적 경험을 제안하며, 오늘날 한국 디자인 정체성의 기초를 마련했습니다. 올림픽 개최 준비, 대중문화의 확산, 산업화와 정보화의 시작 속에서 디자이너들은 자신들의 시각과 실천을 통해 새로운 미적 언어를 형성했습니다. 이 시기의 디자인은 단순한 시각 표현을 넘어 도시 이미지, 소비문화, 국가 브랜드 전략과 맞닿아 있었으며, 동시대 사회와 밀접히 연결되어 있었습니다.
이번 학술대회는 1980년대 서울이라는 시간·공간 속에서 디자인이 지닌 의미와 역할을 살펴봅니다. 디자이너들의 실천, 시각문화의 전환, 그리고 도시와 사회의 관계 속에서 드러나는 다양한 디자인 현상을 연구자들과 함께 탐구하고자 합니다.
⏹일자
2025년 11월 22일 토요일
⏹장소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DDP) 디자인랩 3층 디자인홀
⏹시간
학술대회 13:00-18:00
학생세션 10:00-11:30
⏹모더레이터
허민재, 김소연
⏹협력 및 후원
더블디, 서울디자인재단, 안그라픽스, 월간 디자인, 일상의실천, 직지소프트, 코르푸스, CDR어소시에이츠
⏹참가신청
별도 신청 없이 참가 가능
(*단, 참가인원이 많은 경우 입장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시간표.
[학술대회]
13:10–13:30
▪️기조강연: 김신 Shin Kim
13:30–15:30
▪️1부 (사회자: 허민재)
-박지나 Ji na Park
콜드 타입 혁명과 시각 디자인의 변화: 1980년대 한글 타이포그래피를 중심으로
The Cold‑Type Revolut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Visual Design in 1980s Korea: Focusing on Hangul Typography
-고선정 Sun-jung Ko
1980년대 한국 스포츠 브랜드와 국가 정체성: 대중 소비와 브랜딩의 이면에서 본 시각·물질문화의 전환
Korean Sports Brands and National Identity in the 1980s : A Perspective on the Transformation of Visual and Material Culture Behind Mass Consumption and Branding
-강재훈 Jae Hoon Kang
한국적 복합문화공간의 초석 : 1980년대 원서동 공간 사옥(공간사랑)
Genesis of Korean Cultural Complex Spaces : Space Group Building (gonggan Sarang), Wonseo-dong, 1980s
-전종현 Harry Jun
새로운 도시, 새로운 조경, 새로운 공공: 1987년 서울, 목동 파리공원을 디자인하다
New City, New Landscape, New Public Realm — In 1987, Seoul designed Paris Park in Mok-dong
-1부 라운드 테이블+Q&A
▪️2부 (사회자: 김소연)
16:00–18:00
-박미정 Mijeong Park
디자인 교육가 김영기의 Native Design: 모국어를 가진 디자인
Native Design by Design Educator Kim Youngkee: Design with a Native Language
-김종균 Jongkyun Kim
디자이너 정연종과 ‘한국적 디자인’
Korean Design Identity in the Works of Designer Jung Yeon-jong
-김재민 Jae-min Kim
국가와 개인이 함께 써 내려가는 기억: 기념주화
Commemorative Coins: A Shared Memory of Nation and Individual
-오주은 Jueun Oh
대중문화 이미지를 통해 본 1980년대 한국의 그래픽 문화 : 음반 커버와 영화 포스터를 중심으로
Graphic Culture of 1980s Korea through Popular Culture Images: Focusing on Album Covers and Movie Posters
-1부 라운드 테이블+Q&A
__
▪️Student Session
10:05-11:15
-안동권 Dongkwon An
경기도 기초자치단체 마스코트에서 나타난 타자화된 지역과 주민
The Othering of Regions and Residents in the Local Government Mascots of Gyeonggi Provice
-오지원 Ji won Oh
한국 청첩장 디자인의 시각성
Visuality in Korean Wedding Invitations
-이지호 JIHO LEE
해방 이후 전환기의 한국 아동 한글 교재와 미국 알파벳 교재 속 삽화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Illustrations in Korean and American Children’s Textbooks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
-박은서 Eunseo Park
공공디자인의 관점에서 본 디자이너 정연종의 서울 지하철 벽화
Designer Chung Youn-Chong’s Seoul Subway Murals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Design
-손도영 Doyoung Son
1980–1990년대 한국 라면 패키지에 나타난 매운맛의 색채 커뮤니케이션
The Color Communication of Spicy Taste in Korean Ramen Packages in the 1980s-1990s
-김민 Min Kim
페미니즘 시각으로 본 1970년대 여성지 『직업여성』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 분석
Representations of Women in the 1970s Korean Magazine “The Career Woman” from a Feminist Perspective
-장가현 GaHyeon Jang
삼목구(三目具)의 시각기호학적 해석과 동양의 삼원적 인식 구조 연구
A Semiotic Interpretation of the Three-Eyed Dog Samokgu (三目具) and the Triadic Epistemic Structure in East Asian Thou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