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turn to List Return to List Return to List Return to List
 Design History Society of Korea
...
KR
Design History Society of Korea Introduction News Journals Conferences Member Register Schedule Account
Facebook Instagram
한국디자인사학회 Design History Society of Korea 04066 94, Wawasan-ro, Mapo-gu, Seoul Hongik University Hongmun Hall 1203
디자인 서적 연대기를 통해 본 디자인사 연구의 단서들
이호정
디자인 서적, 디자인 아카이브, 수집, 디자인 전문 출판사, 디자인 서적 연대기, 디자인사
엑스트라 아카이브 10 EXTRA ARCHIVE 10 Journal of Design History Vol. 6, No 1 (Serial Number 10) p-ISSN 2765-2572 e-ISSN 2765-7825
PDF 다운로드

요약

이 연구는 과거의 디자인 서적을 수집해 연대기적으로 보여줬던 전시 〈디자인 책 — 이 책, 그 책, 저 책〉(2023)의 자료를 통해 디자인사 서술의 가능성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1976년부터 2015년까지, 40년간의 자료인 ’디자인 서적 연대기’를 토대로 디자인 서적의 분포에 주목했다. 디자인 서적은 디자인 담론과 지식을 내포하는 자료이자 디자인에 대한 당대의 시각과 요구를 반영하는 매체이다. 이런 측면에서 이 연구는 디자인 서적 연대기로 디자인사를 해석할 수 있는 두 가지 단서를 제안한다. 첫째, 디자인 서적 연대기는 새로운 개념이 도입되는 시기의 상황을 가시화한다. 한국에 디자인이라는 개념이 정착하기 시작했던 시기에 연구서 위주의 출판이 이뤄진 점을 통해 디자인을 개념적으로 정립하려 했던 의지를 발견할 수 있었다. 디자인 사전이 2000년을 전후로 빈번하게 출판된 것 또한 사전의 교육적 기능을 활용한 의지였다고 볼 수 있다. 인터넷 서비스 도입이 시작된 시기 단행본의 흐름도 매체가 급격히 변환되던 국내의 상황을 반영한다. 이렇듯 특정 시기에 특정 도서가 출현한 이유를 추적하는 방식의 접근이 가능하다. 둘째, 연대기를 디자인 서적의 출판 현황을 드러내는 데이터로서 해석하는 방식이다. 디자인 전문 출판사로 등장한 미진사의 예를 통해 그동안 서사화되지 않았던 주체인 ’출판사’를 주목하는 방식을 제안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는 디자인 서적 연대기가 목록의 차원에 그치지 않고 아카이브 대상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을 고찰했다.
디자인 서적, 디자인 아카이브, 수집, 디자인 전문 출판사, 디자인 서적 연대기, 디자인사
PDF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