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으로 목록으로 목록으로 목록으로
 Design History Society of Korea
...
EN
한국디자인사학회 소개 소식 학술지 학술대회 임원 및 회원 입회신청 학회일정 회원정보
Facebook Instagram
한국디자인사학회 Design History Society of Korea 05029 서울시 광진구 능동로 120 예술문화관 804호
디자인사학회 뉴스레터 8호 - 유코 키쿠치 인터뷰
디자인사학회 뉴스레터 8호 유코 키쿠치 Interview 편집: 디자인사학회 인터뷰: 유코 키쿠치(Yuko Kikuchi) 진행: 문희채 발행: 2024년 3월 15일
Q1. 영국과 일본에서 활동을 하셨는데, 우선 일본 디자인사 연구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영국 디자인사 연구 현황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A1. 영국 디자인사의 현재 상태는 1960년대에 시작한 이래로 상당히 변했습니다. 이전에는 19세기부터 20세기의 생산과 소비에 초점을 맞춘 산업 디자인이 주된 주제였고, 그 목적은 아카이브와 박물관 소장품을 활용한 역사 연구였습니다. 또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회적 의미와 계층/성별과 관련된 사물 분석을 통한 역사적 연구였습니다. 1990년대에 시각 문화 연구가 소개되면서 인류학, 문화 연구, 페미니즘 사학, 현대 철학 등이 디자인사 연구에서 방법론적 접근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탈식민주의가 실행되면서 범위도 유럽 중심에서 보다 폭넓은 세계로 확장되었고, 포용적이고 다양성을 갖추며 전세계적인 연결을 만들려는 노력이 더해졌습니다. 이로 인해 다루는 기간도 근대 초기로 되돌아가 현재까지 확장되었습니다. 아마도 가장 최근에 주제가 확장된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다양한 공동체의 역사를 가시화하는 공동체 실천으로서의 디자인 역사; (2) 감각적 접근을 통해 물질성을 연구하는 것; (3) 지속 가능하고 윤리적인 디자인을 연구하고 인류세 관점을 통합하는 것. 이러한 이유로, 점점 더 현대적인 문제와 새로운 접근 방식을 갖춘 디자인사 연구는 디자인 정의에 대한 자기 성찰적 관점과 디자인사 연구 자체의 역사 기술로 진화하여 주체와 입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일본의 경우, 한국과 마찬가지로 대학에 디자인사가 학과로 개설되어 있지 않으며, 디자인 박물관이나 제대로 된 디자인 아카이브도 찾을 수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자들이 디자인사 연구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1959년에 설립된 이쇼학회(The Japan Society of Design - JSD)와 2002년에 이중언어 형식으로 연구를 보급하기 위해 설립된 DHWJ는 학회로서 기능하는 건전한 플랫폼이었습니다. 연구 대상은 오랫동안 유럽-미국 디자인사에 중점을 두고 있었지만, 점차 일본 디자인사로 확장되어 최근 들어 일본의 학자들이 처음으로 디자인사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유럽-미국 디자인, 디자이너, 디자인 운동 및 자포니즘과 같은 일본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아직도 우위를 차지하지만, 이런 연구는 영국의 추세와 느슨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페미니즘과 탈식민주의 연구도 디자인사 연구에 영향을 미쳤으며, 근대 일본 여성들의 사회 생활과 가정 공간에 대한 여성 학자들의 연구가 발전했습니다. 한편, 후기식민주의와 탈식민주의 접근법은 식민지 디자인 및 복잡한 식민지 근대성에 관한 주제를 개발했지만, 이는 아직도 작은 영역입니다. 그러나 이전에 언급한 세 가지 영역에서의 최근 변화는 디자인 역사 연구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시각 문화와 현대 미술 실천에서 새로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제가 보기에 일본의 디자인 역사는 영국과 비교했을 때 훨씬 보수적이며, 방법론적 접근에서 크게 변화하지 않았습니다. 이들은 아카이브, 박물관과 같은 시설을 구축하기 위한 실증적 연구와 사실 조사를 유지하고 있지만, 일본의 학술 연구 대부분은 고립되어 있고 비판적이고 이론적인 참여에 대한 리더십을 제공하지 못하며, 세계와 소통하고 있지 않습니다. The current state of design history in the UK has changed considerably since its start in the 1960s. Earlier the main subject was industrial design focusing on production and consumption during the 19th-20th century, and its purpose was historical research through use of archives and museum collections, or more specifically, object analysis in relation to social meaning and class/gender. In the 1990s when visual culture studies were introduced anthropology, cultural studies, feminist history, contemporary philosophy became influential for methodological approach in design history study. With postcolonialism in action, the scope also changed from Eurocentric to the wider world, to be inclusive and diverse and making global connections. The covering period became wider because of the need to shift back to early modern spanning to the present. Probably the most recent expansion of the subjects can be found in three areas: (1) design history as a community practice engaging with communities and making different community histories visible; (2) studying materiality by using sensory approaches; (3) studying sustainable and ethical design and integrating the Anthropocene perspective. Thus, increasingly, design history studies have acquired contemporary concerns and new approaches, and have evolved into a self-reflexive perspective on the definition of design, and the historiography of design history studies itself, questioning agency and positionality. Like in Korea, there is no design history department at universities in Japan, nor do we find design museums or even proper design archives, yet there are many scholars involved in design history studies. Ishō Gakkai (The Japan Society of Design -JSD, founded in 1959) and DHWJ (founded in 2002 for disseminating work in bilingual format) have been sound platforms that function as academic societies (please see the attached article about the evolution of design history studies in Japan). Euroamerican design history has been the focus for a long time, but gradually it expanded towards Japanese design history through which scholars are writing a history of design for the first time. Studies on Euroamerican design, designers and design movement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Japan (ie Japonisme and other exchanges) still tend to dominate, though they have loosely engaged with the trend in the UK. Feminism and postcolonial studies have also affected design history studies, and studies on Japanese women’s social lives and domestic space in modern times by women scholars have developed. Meanwhile, postcolonialism and decolonial approaches developed topics on colonial design and complex colonial modernity even though this is still a small area. However, the most recent changes in three areas in the UK mentioned earlier, are not happening in design history studies, but emerging in visual culture and contemporary art practice. In my view, Japan’s design history is much more conservative compared to those in the UK, and have not changed very much in terms of methodological approach. They retain empirical studies and fact finding which are also necessary for the aim for Japan to build facilities (ie archives, museums), but the bulk of scholarly works in Japan have been isolated and offer little leadership on the critical and theoretical engagement, and they are not in communication with the rest of the world. Q2. 한국에서도 번역되어 출판된 야나기 무네요시에 관한 연구서 <일본 근대와 민예론>에서 민예와 디자인사의 접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는지요? A2. 199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영국의 활발한 탈식민주의 연구의 지적 환경에서 민예에 대한 책을 쓴 이후로 저는 '공예'를 디자인 역사의 일부로, 중요하게는 전통적인 예술사적 연구가 아닌 탈식민주의적 방법으로서 스타일 분석, 기술, 수집 및 출처에 대한 연구에 관심을 가져왔습니다. 저는 일본과 같은 비유럽 국가에 부과된 '미술', '공예', '디자인'이라는 유럽 중심의 위계적 경계에 도전하기 위해 '공예'와 민예를 사용합니다. 저는 또한 '공예'에 집착하는 일본의 민족주의에 도전합니다. 영국은 일본을 뛰어난 공예의 나라로 정의했지만 미술을 생산할 수 있는 나라는 아니었기 때문에 일본도 이를 따라 공예 중심의 제도화된 문화를 받아들이면서 공예에 대한 일본 중심의 담론을 만들어낸 것으로 보입니다. 민예와 일본의 식민주의 역시 무시할 수 없는 탈식민지화의 이슈입니다. 그러므로 제 작업에서는 포스트모던과 포스트식민주의적 행동주의를 실천합니다. 저는 또한 민예와 '민중 예술'의 핵심 아이디어가 국경을 넘어선 아이디어이며, 현대화, 세계화 및 식민주의에 대한 반동적 행동주의를 형성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디자인사는 점점 더 모든 공동체에 대한 연구로 전환되어 공정성, 다양성 및 포용성을 위한 비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는 25년 이상 런던 예술 대학(University of the Arts London)에서 근무하면서, 초국가적 예술 연구소(Transnational Art Research Centre, TrAIN)의 창립 멤버로서 탈식민주의적 시각문화 연구를 주도해 왔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저의 연구는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까지의 시간적 범위를 넘어 현재까지 확장되었으며, 동시에 여전히 연결된 다양한 민예의 역사를 포함하는 더 넓은 세계를 다루고 있습니다. 2016년 타이페이에서 열린 ICDHS 10주년 기념 컨퍼런스에서 보여준 'Making Trans/National Contemporary Design History'라는 주제로 입증되었듯이, 지역 연구를 연결하는 트랜스내셔널리즘은 현재 디자인사 연구에 대한 가장 효과적인 탈식민주의적 접근 방식 중 하나입니다. 테스터 게이츠(Theaster Gates)의 '아프로 민예(Afro Mingei)' 아이디어는 이러한 민예와의 연결이 어떻게 강력한 탈식민화를 이룰 수 있는지 보여주는 한 예이며, 민중의 알려지지 않은 미술을 시각화함으로써 소유권을 취하도록 이끌고 있습니다. Since writing my book on Mingei in the intellectual climate of vibrant postcolonial studies in the UK in the 1990s through to the early 2000s, I’ve been interested in studying ‘craft’ as part of design history, and importantly as a decolonial method, not as a conventional art historical research on stylistic analysis, techniques, collection and provenance. I use ‘crafts’ and Mingei to challenge the Eurocentric hierarchical demarcation of ‘fine art’, ‘craft’ and ‘design’ imposed on non-European countries like Japan. I also challenge nationalism through Japan’s nationalistic system that it attaches to ‘crafts’. Since Japan was defined by British as a country of extraordinary crafts but not the country which can produce fine art, Japan, has seemingly followed that, adopting a craft-centric institutionalised culture, while creating Japanocentric discourse on crafts. Mingei and Japan’s colonialism also become issues for decolonisation that cannot be ignored. Therefore, in my work I practice postmodern and postcolonial activism. I’ve also been discovering that Mingei and the core idea of ‘Art of the People’ are transnational ideas and form a reactionary activism against modernisation, globalisation and colonialism. Design history is increasingly becoming studies on all communities with a vision for equity, diversity and inclusivity. I have worked for the University of the Arts London for over 25 years, leading postcolonial visual cultural studies as a founding member of the Transnational Art Research Centre (TrAIN). This experience led me to a wider chronological span beyond 19th-early 20th century to the present, while also encompassing a wider world involving multiple histories of Mingei which are still connected. As the ICDHS 10th anniversary conference held in Taipei, with the theme Making Trans/National Contemporary Design History in 2016 demonstrated, transnationalism that connects regional studies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decolonial approaches for the current design history studies. Theaster Gates’ idea of ‘Afro Mingei’ is one example of how such connections to Mingei can make for powerful decolonisation, and leads the way in taking ownership through its visualisation of unknown unrecorded art of the people. Q3. 영국 RCA의 디자인사 교육과정에서 V&A와의 협업은 어떤 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나요? A3. V&A/RCA의 디자인사 대학원 과정은 1982년에 시작되었는데, 이 때는 영국이 디자인사 연구의 광범위하고 체계적인 제도화를 시도하고 있던 시기였습니다. 이는 현대 대학-박물관 협력 교육 계획의 최초 모델 중 하나로, 공립 디자인 학교 (Government School of Design, RCA의 전신 기관)가 사우스 켄싱턴 박물관 (V&A의 전신) 내에 위치했던 19세기 모델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이 모델은 박물관의 첫 번째 관장인 헨리 콜 아래서 구현되었는데, 콜은 국가와 대중을 위한 실용적 디자인 개혁에 대한 거창한 비전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수집품을 중심으로 한 연구는 커리큘럼과 교육 방법의 핵심 부분이 되었고, 이 아이디어는 현재까지도 유지되고 있습니다. V&A/RCA 디자인사 대학원 과정의 첫 학기 동안 학생들은 V&A 컬렉션에서 물건을 선택하여 역사적 및 사회적 맥락에서 분석하는 '물건 연구'를 수행하게 됩니다. 따라서 어찌 보면 40년 전 두 기관 간의 연결이 원래의 비전에서 되살아났고, 이는 디자인사 연구의 근거가 되기도 했습니다. 이후로 이 V&A/RCA 모델은 많은 국가에서 따라하고 있습니다. V&A/RCA MA History of Design course started in 1982 at the time during which the UK was attempting to make a vast systematic institutionalisation of design history study. It was one of the first models for a modern University-Museum collaborative education initiative, taking its cue from a 19th century model in which the Government School of Design (former body of RCA) was situated inside the South Kensington Museum (as V&A was formerly known) under the first director of the museum Henry Cole. Under Cole the Museum held a grand vision for practical design reform for the nation and the public. Object-centred study in relation to the collection becomes the key part of the curriculum and educational approach, and this idea is retained in the present model. During the first term of the V&A/RCA MA History of Design course, students are assigned to carry out ‘object study’ by choosing an object from the V&A collection which they analyse in a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 So, in a way, 40 years ago the link between the two institutions was revived from the original vision and it became the rationale for design history studies. Since then, this V&A/RCA model has been copied in many countries. Q4. 한국 디자인사에 제언하고 싶은게 있으시면 말씀해 주세요. A4. 한국에서 디자인사 연구가 더 발전하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이윤아 박사를 비롯한 제 동료 디자인 역사학자들과 함께 동아시아 디자인사 교과서를 편찬하려는 야심 찬 목표를 위해 오랜 시간을 함께 노력해왔습니다. 근대 동아시아는 현재보다 훨씬 더 유동적이고 문화적, 언어적으로 연결되어 있었으며, 국경을 넘는 디자인 사상의 전파와 함께 현대적인 디자인의 생산과 소비를 경험했습니다. 우리는 동아시아 디자인에 무엇이 영향을 주는지를 알기 위해 1차 자료를 축적하고 많은 사례를 식별해야 합니다. 이는 어려운 과제일 수 있지만 매우 풍부하고 흥미로운 역사를 만들어내며, 또한 유럽-미국 중심적인 관점의 탈식민주의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진정한 진전을 이루기 어렵다는 것을 인식해야 합니다. 일본에서 지난 4년 반 동안 대학에서 일하며 겪은 일본은 과거에 머무르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독일과는 다르게 적절한 탈식민주의화의 순간을 가져오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큰 좌절을 느낍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진보적인' 디자인사 연구뿐만 아니라 '진보적인' 인문학 일반도 이루어지기 어려울 것입니다. 그러나 일본에서도 탈식민화 무능력에 진지하게 관심을 갖고 있는 유망한 학자들과 활동가들을 만나고 협력하며 일해본 경험이 있습니다. 그들은 여러분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저는 동아시아 디자인사를 함께 기록하기 위한 협력 프로젝트를 개발하는 것이 두 문화 모두에게, 그리고 미래 세대에게 진정한 탈식민주의의 과제라고 강력히 믿습니다. I would really like to see design history studies further develop in Korea. Together with my design historian colleagues, including Dr Yunah Lee, we have been working for a long time on our ambitious vision to compile a textbook of East Asian design histories. Modern East Asia was much more fluid and connected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than it is now, and across the borders within, it experienced the dissemination of the idea of design followed by modern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design, together. We need to accumulate primary sources and identify many cases to see what can inform design in East Asia so as we can write histories. This is a daunting task but will not only make for very rich and interesting histories, but also, if we don’t do it, we will continue to suffer from not having carried out a real decolonising of the Euroamerican centric perspective, that will leave us unable to make any true progress on the story we need to own. Having worked in higher education for the last four and half years in Japan, and having seen the system from inside before coming back again to the UK, I’m so frustrated by Japan, a country which is stuck in the past and so seems unable to have a proper moment of decolonisation, unlike in Germany. ‘Progressive’ design history studies as well as ‘progressive’ humanities in general cannot be achieved in that situation. However, I have also met and worked with many promising scholars and activists in Japan who are seriously concerned about Japan’s inability to decolonise. They need your help, and I strongly believe developing collaborative projects towards writing East Asian Design Histories together is the true work of decolonisation for both cultures, and for future generations.
본 웹사이트는 Internet Explorer 환경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Edge, Chrome, Safari 등의 다른 브라우저를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