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 아카이브 출판물 제작을 위한 그래픽 디자인에서의 프로세스
그래픽 디자인, 아카이브, 목록 구조, 아카이브 출판물, 편집디자인
엑스트라 아카이브 10
EXTRA ARCHIVE 10
Journal of Design History Vol. 6, No 1
(Serial Number 10)
p-ISSN 2765-2572
e-ISSN 2765-7825
PDF 다운로드
요약
이 연구는 그래픽 디자이너가 아카이브를 창작 도구로 활용해 공간을 주체적으로 해석하고 표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한다. 사진과 회화에서 공간을 기록하는 방식은 관찰자의 시선에 따라 기록물의 위계를 형성하고, 기록자의 해석을 통해 서사적 맥락을 전달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그래픽 디자인에서는 편집디자인의 목록 구조를 통해 기록물의 구조를 재구성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이 연구는 개념 미술에서의 아카이브 특성과 프로세스를 분석하여 그래픽 디자인에서의 아카이브 프로세스를 다음과 같이 구축했다. 첫째, ’문제인식’ 단계에서는 기존 건축 도록과 아카이브 방식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시흥시 문화재생공간인 맑은물상상누리를 연구 대상지로 선정했다. 둘째, ’취합’ 단계에서는 1989년부터 2024년까지 공간을 경험한 다양한 사람들의 기록물을 수집했다. 셋째, ’기록’ 단계에서 연구자는 2023년 8월부터 2024년 5월까지 관찰일지와 사진을 활용해 공간의 해석 단서를 발견하고자 했다. 넷째, ’재구성’ 단계에서는 ’있기에 앞서’라는 해석점을 도출하여 공간의 과거와 현재를 통합한 아카이브 목록을 재구성하고, 사라진 흔적과 새롭게 형성된 의미를 조명했다. 다섯째, ’맵핑’ 단계에서는 과거와 현재가 교차하는 목차 구조를 구성했다. 마지막은 ’디자인 콘텐츠로 전환’ 단계로 이러한 구조를 아카이브 출판물에 적용하여 공간의 의미를 시각적으로 강화했다. 그래픽 디자인에서의 아카이브 프로세스를 통해 공간 기록의 위계를 재구성하여 새로운 시각 언어를 창출할 수 있음을 확인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디자이너가 구축한 아카이브는 단순한 표현을 넘어 기록과 보존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를 통해 그래픽 디자인에서의 아카이브가 공간의 의미를 재창조하는 창작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며, 공간에 대한 새로운 시각적 접근 방식을 마련하는 기틀을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그래픽 디자인, 아카이브, 목록 구조, 아카이브 출판물, 편집디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