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개의 문: 한글 조형 분석
-
1. 서론: 말소리의 해체와 분류
-
2. 본론: 한글 조형 분석
-
2.1. 소리를 형태로
-
2.2. 한글의 추상성
-
2.3. 문자 체계의 조형 요건
-
2.4. 발음기관의 생리적 작용: 자음 자소
- 2.4.1. 동작 양상에 따른 구분
- 2.4.2. 조음 위치에 따른 파생
-
2.5. 소리의 성질: 모음 자소
- 2.5.1. 자음과 시각적으로 차별
- 2.5.2. 깊은 소리와 얕은 소리
-
2.1. 소리를 형태로
-
3. 결론
엑스트라 아카이브 2, 비논문, 두 개의 문, 이지원, 한글, 조형, 분석
엑스트라 아카이브 2
EXTRA ARCHIVE Journal For Design History Vol.2, No.1(Serial Number 2)
ISSN 2765-2572
PDF 다운로드
요약
한글의 조형성을 분석하기 위해 세종대왕이 정음을 지금과 같은 형태로 만들게 창제한 과정을 유추하는 지점에서 이야기를 시작하고자 한다. 인간이 만든 모든 사물,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한글 역시 그것을 인식하는 층위가 다양하다. 사회적 측면에서 유용한 소통 도구라고 볼 수도 있고, 정치적 측면에서 한자 중심 문화 속 혁명으로도 볼 수 있고, 인류학적 측면에서 무형 인류 유산으로도 볼 수 있다. 이 논문에서 다루려는 측면은 소리에 형태를 부여한 기호로서의 한글이다. 세종대왕은 나랏말(창제 당시 기준)을 문자 기호로 표기하는 체계를 만들었다. 이러한 인식은 언어학과 음성학의 측면에서 한글을 바라보는 층위라 볼 수 있다. 여기에서 한 단계 더 깊이 들어가, 한글의 사례를 통해 말소리를 시각적 기호와 연결하는 조형 원리를 분석하면, 우리는 그 속에서 언어와 시각 기호의 관계를 발견하고, 나아가 체계로서의 추상 기호 표현을 상상할 수 있게 된다.엑스트라 아카이브 2, 비논문, 두 개의 문, 이지원, 한글, 조형,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