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turn to List Return to List Return to List Return to List
 Design History Society of Korea
...
KR
Design History Society of Korea Introduction News Journals Conferences Member Register Schedule Account
Facebook Instagram
한국디자인사학회 Design History Society of Korea 04066 94, Wawasan-ro, Mapo-gu, Seoul Hongik University Hongmun Hall 1203
생활 양식을 반영한 브랜드 마케팅과 가전의 변화: 청소기 중심으로
김민우
청소기 디자인 변화, 잡지 광고 & TV CF, 광고 전략, 생활양식
엑스트라 아카이브 10 EXTRA ARCHIVE 10 Journal of Design History Vol. 6, No 1 (Serial Number 10) p-ISSN 2765-2572 e-ISSN 2765-7825
PDF 다운로드

요약

오늘날 청소는 가정에서 건강과 환경에서 중요한 요소로 요소로 자리잡았다. 현재 고가의 무선 청소기는 시장에서 큰 관심을 받으며 편하고 효과적인 청소를 제공한다고 여겨진다. 이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한국의 청소기 마케팅과 디자인 변화를 연도별로 분석하여, 197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청소기에 담겨져있는 한국의 생활양식의 변화를 관찰해보았다. 연구 범위는 1970년대부터 90년대까지 잡지에 실린 청소기를 사용하는 지면 광고와 TV에 방송된 CF를 선정했다. 1970년대 이후 청소기가 국내에 도입되면서 생활양식의 변화를 추구하는 가전 브랜드의 마케팅을 살펴보며 청소기의 변화를 분석했다. 2000년대 전까지 청소기는 크기도 크며 사용성도 편리하지 못하여 보급률이 낮았지만 이후 스팀청소기가 개발되어 가정에서 청소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된다. 진공청소기가 등장한 이후에도 한국은 물걸레청소를 선호하였으며 스팀청소기는 이를 현대적으로 발전시켜 효율적인 물걸레청소 환경을 제공해주었다. 스팀청소기의 편리함과 가벼움은 다른 가전 브랜드들이 무선 청소기를 개발하는 도움을 주었으며 2010년대 무선청소기와 로봇청소기가 대중화되기 시작한다. 연도별로 청소기의 모델과 마케팅의 특징은 다르게 분석된다. 90년대까지 엄마, 주부가 청소기를 다루며 남편이 아내에게 선물해주는 가전에서 2000년대는 남성 모델이 등장하게 된다. 이는 사회적으로 맞벌이 부부가 늘어나며 남성 또한 가사의 역할을 도와주는 모습이 가정적이라는 변화가 이루어진다. 그 이후 2010년의 청소는 가족 모두의 역할로 인식되며 청소기는 가정에 건강과 환경을 책임지는 상징성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연도별 청소기의 마케팅과 디자인 변화를 분석하여 생활양식의 변화와 사회적 인식에 따른 마케팅 내용과 그에 맞게 청소기가 디자인 변화를 추구해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소기 디자인 변화, 잡지 광고 & TV CF, 광고 전략, 생활양식
PDF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