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렌 럽튼 저서의 수용 과정을 통한 동시대 디자인 담론
동시대 수용사, 디자인 이론, 문화 번역, 맥락화, 성찰적 디자인
엑스트라 아카이브 10
EXTRA ARCHIVE 10
Journal of Design History Vol. 6, No 1
(Serial Number 10)
p-ISSN 2765-2572
e-ISSN 2765-7825
PDF 다운로드
요약
이 연구는 동시대 디자인 연구자이자 미국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저술가 엘렌 럽튼(Ellen Lupton)의 디자인 담론이 한국에서 어떻게 수용되고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럽튼의 저서 원문과 한글 번역본을 비교·분석하여 한국 시각 디자인 분야에서 럽튼의 디자인 철학과 담론이 어떻게 해석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연구자는 단순 번역을 통한 탈맥락적 수용의 한계를 조명하여 한국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유연한 디자인적 번역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성찰적 디자인(Reflective design)’ 접근법을 제안하여, 서구 중심의 디자인 담론을 한국적 맥락에서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발전시키는 방안을 모색한다. 본 연구는 이론과 실무 간의 격차를 해소하고, 디자인 이론이 한국의 시각 디자인 교육 및 실무 환경에 더 심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궁극적으로, 한국 시각 디자인 문화의 발전과 국제적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에 기여하고자 한다.동시대 수용사, 디자인 이론, 문화 번역, 맥락화, 성찰적 디자인